본문 바로가기
경제

부동산 매매 기초 용어 총정리 1탄 한국부동산원 부동산계약 매도인 매수인 임대인 임차인 가계약금 계약금 중도금 잔금

by 이로운부자망고스틴 2025. 4. 3.
SMALL

 

 

부동산 매매 시 꼭 알아야 하는

 

기초 용어를 총정리해 드립니다.

 

 

큰 돈이 오가는 만큼 용어를

 

정확히 이해하고 계약을 신중히

 

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부동산 매매 기초용어 1탄

 

* 매도인 / 매수인 *

 

매도인은 내 집을 팔려는 사람

 

매수인은 그 집을 사려는 사람

 

매도인은 집을 팔기 위한 계약을

 

진행하고 매수인은 계약을 체결

 

한 후 집을 소유하게 됩니다.

 

 

* 임대인 / 임차인 *

 

전월세 계약에서는 매도인과

 

매수인 대신 임대인(집주인)과

 

임차인(세입자)이라는 용어를

 

사용합니다.

 

임대인은 보증금과 월세를 받고

 

집을 빌려주는 사람이고 임차인은

 

집을 빌리고 월세를 내는 사람을

 

뜻합니다.

 

 

* 가계약금/계약금/중도금/잔금 *

 

가계약금 -> 계약금 -> 중도금 -> 잔금

 

순서로 부동산을 계약할 때

 

돈을 지급하며 계약을 진행합니다.

 

큰 돈이 오가는 만큼 정확한

 

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계약을

 

신중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* 가계약금 *

 

집을 사고팔 때 본 계약 전에

 

해당 매물을 잠시 예약하는

 

느낌으로 먼저 내는 돈입니다.

 

일반적으로 매매가의 1 ~ 5% 입니다.

 

부동산 법률 용어는 아니지만

 

매물, 가격, 지급시기 등을 문자

 

등으로 서로 합의하였다면

 

법적 효력이 생깁니다.

 

 

* 계약금 *

 

본 계약을 체결할 때 지불하는

 

돈으로 가계약금을 이미 냈다면

 

계약금에서 가계약금을 제외한

 

나머지 금액만 지급하면 됩니다.

 

계약금은 계약의 성립을 의미하기

 

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

 

중요합니다.

 

계약금은 일반적으로 매매가의

 

10% 입니다.

 

 

* 중도금 *

 

중도금은 매매 계약 후 잔금

 

이전에 지불하는 돈으로 계약이

 

더욱 확실해져 일방적인 계약해지가

 

어려워집니다.

 

 

여러 번에 나누어 지급할 수도

 

있지만 약속된 날짜에 지급하지

 

않으면 연체 이자가 발생할 수

 

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 

* 잔금 *

 

잔금은 계약의 마무리 단계에서

 

매매 총 금액에서 계약금(+가계약금),

 

중도금을 제외한 나머지 돈입니다.

 

보통 입주일에 지급하며 잔금을

 

지급한 후 소유권 이전 등기를

 

완료하면 비로소 내 집이 됩니다.

 

 

 

LIST